본문으로 바로가기

글자크기 설정

기사 상세

경제

경제학자들 경고…고령층 빚 MZ가 떠안는다

임성현 기자

입력 : 
2023-02-01 17:43:51
수정 : 
2023-02-01 19:40:27

글자크기 설정

한국경제학회, 2050년후 성장률 0.9%로 추락 전망
2014년 이후 30대 부채 최대 증가 … 韓경제 뇌관
◆ 경제학계 경고 ◆
1%대 저성장과 19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빚이 한국 경제를 짓누르는 가운데 미래 세대인 MZ세대의 경제 부담이 가중되면서 사회적 갈등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경제학자들의 경고가 나왔다.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저출산·고령화 추세를 저지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들이 눈에 띄지 않고 이 같은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하면 한국 경제는 선진국 클럽에 진입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일 한국경제학회에 따르면 이종화 한국경제학회장은 2일부터 개최되는 '2023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할 논문에서 급격한 인구 감소로 2050~2060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평균 0.9%로 추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장 올해도 1%대 성장이 예고된 가운데 한국 경제가 장기 불황의 늪에 빠지며 초저성장이 '뉴노멀'이 될 수 있다는 경고다. 생산성을 견인할 물적자본 투자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성장률은 1%대 미만은 물론이고 자칫 역성장에 빠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이 같은 저성장 추세는 미래를 이끌고 갈 젊은 세대에게 더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세대 간 가계부채 리스크' 분석을 통해 2010년대 이후 청년층이 고령층의 부채를 떠안아 왔다고 밝혔다. 2013년 이전에는 가구주 연령이 55~59세인 그룹의 부채 수준이 전체 가구 중 가장 높았지만 2014년 이후에는 35~39세 그룹의 부채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규제 완화로 주택을 보유한 중장년층 부채가 무주택 청년 세대에 대한 주택 매매와 임대를 통해 전가됐다는 것이다. 고령층은 집값 상승 속에 빚을 줄이는 디레버리징에 나선 반면 저금리 기조 속에 청년들은 이른바 '영끌' '빚투'로 레버리징에 나서면서 부채가 전이됐다는 설명이다. 하 교수는 "특정 연령층에 리스크가 집중되는 것은 세대 간 갈등과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부의 대물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자녀 세대 소득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지은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과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모 소득을 5분위로 구분했을 때 한 단위 위로 올라갈 때마다 1980년대생 이후 자녀 임금은 평균 9.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1960년대생(1%)이나 1970년대생(0.3%) 증가율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임성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