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글자크기 설정

기사 상세

기업

포스코, 매출 100조 미래 소재기업 꿈꾼다

오수현 기자

입력 : 
2023-04-19 17:28:27
수정 : 
2023-04-19 22:40:07

글자크기 설정

광양에 10년간 4.4조 투자
김학동 "철강 넘어 소재로
국가경제 도약에 기여할것"
정부 규제완화 현실화하면
매립지 동호안 230만평에
배터리·리튬·수소 설비 건설
사진설명
한덕수 국무총리(왼쪽 둘째)가 19일 지역투자 애로 기업 현장 방문으로 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를 찾아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포스코그룹이 전남 광양에 2차전지 소재, 리튬, 니켈, 수소, 에너지 등 미래 첨단 산업 분야 생산시설을 집중 건설해 철강에 집중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다. 포스코는 비철강 미래 신산업을 집중 육성해 현재 76조원 수준인 매출 규모를 100조원대로 끌어올려 명실상부한 미래 첨단 기업으로 변신한다는 목표다.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은 19일 전남 포스코 광양제철소를 찾은 한덕수 국무총리를 맞이하면서 이 같은 내용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 부회장은 "포스코그룹은 철강을 넘어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 기업으로 도약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와 김 부회장은 광양제철소와 인근 동호안 용지를 함께 둘러봤다.

광양제철소 동쪽 해상에 위치한 동호안은 바다로부터 제철소 용지 침식을 막기 위해 설치한 공작물이다. 포스코는 1989년부터 광양제철소 설비 확장을 위해 제철소와 동호안 사이 바다를 매립해왔다. 이 면적은 약 230만평에 이르는데, 이는 광양제철소 면적(666만평)의 3분의 1 수준이다. 현재 이곳에는 코크스공장, 철강원료야드,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등이 들어서 있는데, 한 총리가 약속한 규제 완화가 현실화하면 동호안은 포스코그룹의 비철강 미래 첨단 산업 기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현재 포스코그룹 매출에서 종합상사·에너지·소재·건설 등 비철강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5%다. 포스코는 '친환경 미래 소재 기업'과 '탄소중립 2050'을 미래 비전으로 제시하고 사업 포트폴리오 재조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철강업 속성상 이산화탄소 배출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투자는 포스코의 새 먹거리인 2차전지 소재와 리튬, 니켈, 수소 등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선 새 용지 확보가 필수인데 포스코는 항만·용수 등 생산시설 인프라가 이미 갖춰진 광양 동호안을 최적의 입지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광양 설비투자 시 제철 관련 업종만 들어올 수 있는 산업입지법 시행령에 발목이 잡힌 상황이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1조 제7항에선 산업시설 용지의 임대 조건을 '공동 제품 생산 또는 연구개발을 위해 협력 관계에 있는 기업'으로 국한하고 있다. 포스코 제철소가 들어선 광양에는 제철 관련 시설만 들어올 수 있는 것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관련 법령에 첨단 기술, 녹색성장 등 조항을 추가해 비철강 계열사도 입주가 가능하도록 해줄 것을 정부와 전라남도에 요청해왔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의 이번 방문은 포스코의 규제 완화 요청을 단순히 수용하는 것을 넘어 전남 광양을 국가 미래형 산업단지로 적극 육성하겠다는 정부 의지가 반영된 움직임이다. 한 총리는 "이번 정부의 결정은 국가 첨단 산업의 선제적인 육성과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거두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간투자가 지역경제 도약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현안을 직접 챙기겠다"고 했다.

포스코는 계획대로 4조4000억원의 투자가 완료되면 생산 유발 효과가 연 3조6000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연 1조3000억원, 취업 유발 효과는 연 90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오수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