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글자크기 설정

기사 상세

경제

저축銀 건전성 '경고등' 부실채권 뇌관 되나

한우람 기자

명지예 기자

입력 : 
2023-04-05 17:37:33

글자크기 설정

저축銀 부동산대출 연체 1조
연체 3개월이상 부실채권 비율
작년말 4.1%까지 치솟아
부동산 침체로 정리도 난항
채권 매각·인수가 간극 커져
대손충당금 확충 압박도 늘어
사진설명
저축은행업계의 대출 연체액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며 건전성 지표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대출 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악화로 연체 여신이 증가하는 가운데 연체 채권 매각이 수월하게 이뤄지지 못해 연체율, 고정이하여신 비율을 비롯한 건전성 지표들이 더욱 나빠지고 있다.

5일 매일경제신문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2022년 말 경영공시를 전수조사한 결과를 보면 1년 동안 부동산 관련 대출 총액은 25%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연체액은 108% 늘었다.

저축은행업권의 부동산 관련 대출은 당국의 관리 아래에서 신용공여 한도를 준수해 집행되고 있다. 저축은행업권이 성장하며 대출 규모가 커지자 부동산 관련 대출액도 늘어난 셈이다. 하지만 대출액이 늘어나는 속도에 비해 연체액 증가 속도가 더욱 빨라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둔화로 인해 부동산 관련 대출의 신규 취급이 어렵고, 회수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등 선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며 "저축은행들은 건전성 지표를 보수적으로 재분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관련 대출과 연체율이 동반 급등하는 가운데 3개월 이상 연체돼 대출 회수 가능성이 낮아진 부실채권 비율 역시 오름세를 보여 또 다른 뇌관이 되고 있다.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은 2020년 말 4.2%에서 2021년 말 3.4%로 내려갔다가 지난해 말 4.1%로 다시 올랐다. 고정이하여신은 대출금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금융사의 총여신 중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금융권에서는 이 같은 부실채권(NPL)을 수시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NPL 전문 투자사에 매각해 손실을 확정 짓고 재무제표를 재정비한다. 하지만 지난해에 부동산 경기가 꺾이며 부실채권 정리도 녹록지 않은 형국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출의 질과 담보 여부에 따라 매각가가 달라지겠지만 지난해 무담보 부실채권의 경우 원금 대비 10%로 팔리는 등 손해가 막심해 부실채권 정리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들어 저축은행이 원하는 매각가와 부실채권 투자자가 생각하는 인수가의 간극이 벌어지며 부실채권 정리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 한 NPL 투자 관계자는 "최근 부실채권 잠재 공급량은 늘어난 반면 이를 사들인 뒤 회수하는 게 녹록지 않다는 판단 때문에 매도자와 매수자 간 가격 호가가 많이 벌어져 있는 상태"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부동산 경기 악화는 저축은행 부동산 관련 대출 부실 압박을 높이는 요인이다. 먼저 연체율 상승으로 대손충당금 압박이 커진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저축은행은 신규 대손충당금으로 2조5478억원을 쌓았다. 이는 전년(1조7122억원) 대비 48.8% 늘어난 숫자다.

연체된 부동산 관련 대출이 부실채권으로 분류된 이후에도 문제다. 부동산 관련 대출 중 거의 대부분은 부동산이 담보로 잡혀 있다. 하지만 '땅'이라는 확실한 담보에도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지 않으면 부실채권 투자자들은 이 같은 담보 대출 인수를 꺼릴 수밖에 없다. 부실채권을 사들인 뒤 담보인 부동산을 처분해 이를 회수해야 하지만, 부동산 처분이 어려워지면 돈이 장기간 묶여야 하고, 이에 따른 금융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저축은행 '체력' 비축에 감독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연체율, 고정이하여신 비율 등이 아직까지는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며 "잠재 부실 위험이 현실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 추가 적립, 자본 확충 유도를 지속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한우람 기자 / 명지예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