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글자크기 설정

기사 상세

경제

배터리 전략광물 전쟁 … 韓기업, 리튬·니켈 공동확보 나선다

송광섭 기자

송민근 기자

입력 : 
2023-02-21 17:40:06
수정 : 
2023-02-21 19:21:29

글자크기 설정

美주도 13개국 핵심광물파트너십에 韓기업 참여
中의존 심해 공급망 불안 지속
'직구' 치중하다 美와 연합작전
美 IRA 혜택 받기위한 포석도
테슬라도 자체 광산 확보 사활
官 주도 MB 광물정책과 달리
尹정부, 판만 깔고 민간 주도
◆ 자원 무기화 발등의불 ◆
사진설명
아르헨티나 살타 지역의 포스코 리튬 염호(작은 사진은 리튬과 더불어 배터리 원료로 쓰이는 코발트). 【사진 제공=포스코·매경DB】
한국 주요 전기차·배터리 기업들이 지난해 미국 주도로 출범한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Minerals Security Partnership)'을 활용해 핵심광물 확보에 나선 것은 세계적인 수요 급증에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이다.

전기차·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광물의 경우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이어서 미·중 패권 경쟁 심화에 따른 공급망 위기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21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SK온·포스코홀딩스 등 국내 기업을 비롯해 테슬라·제너럴모터스(GM) 등 해외 전기차 업체들이 앞다퉈 핵심광물 확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촉발된 '자원 무기화' 현상과 세액공제 조건을 까다롭게 만든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와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광물을 지금까지는 대부분 중국에 의존해왔다"며 "이를 낮추려면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하는데 그런 면에서 미국 주도의 국제 협력 파트너십인 MSP는 매우 좋은 수단"이라고 말했다. MSP에는 각국 정부가 참가하고 있지만 여기서 추진되는 사업에는 기업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도입된 IRA도 핵심광물 확보 경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 IRA는 북미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에서 채굴한 광물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배터리에 한해 세액공제를 적용하도록 돼 있다.

올해는 이 비율이 전체 광물의 40%를 충족해야 하는데 비중은 점차 높아져 2027년에는 80%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한 국내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북미를 중심으로 미국이 주도하는 전기차시장이 커지는 만큼 중국 이외 지역에서의 광물 조달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MSP에 참여하면 IRA 세액공제 조건을 달성하는 데도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국내 기업들은 개별적으로 핵심광물을 확보해왔다. 국내 대표 배터리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캐나다 광물업체 3곳과 리튬·코발트 공급 협약을 체결했다. SK온도 같은 해 장기 고순도 리튬 확보를 위해 호주 자원개발업체 '레이크리소스'의 지분 10%를 매입했다. 현대차는 호주 희토류업체 '아라푸라리소시스'와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포스코홀딩스는 호주 광물개발업체 '진달리리소스'와 업무협약을 맺고 미국에서 점토 리튬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한국 기업만의 현상은 아니다. 세계 1위 전기차업체인 테슬라는 최근 캐나다 리튬채굴업체 '시그마리튬'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그마리튬은 브라질에 있는 대규모 리튬 매장지의 광산 개발권을 갖고 있다. 미국의 완성차 업체인 GM은 지난달 말 캐나다 리튬광산업체인 '리튬아메리카스'에 약 8500억원 규모 지분을 투자하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전 세계에서 핵심광물 확보전이 가속화되면서 한국 정부는 국내 기업들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수단으로 MSP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달에 한국광해광업공단(옛 한국광물자원공사)과 함께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MSP에서 추진하는 해외 광산 사업을 안내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 때 핵심광물을 공공 주도로 확보하려 했다면, 이제는 민간 주도로 진행한다는 게 기본 방향"이라며 "정부가 국가 간 협의체인 MSP를 통해 일종의 '판'을 깔아주고 국내 기업들이 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전기차·배터리 공장 등을 미국에 대규모로 짓고 있는 만큼 정부가 MSP 내에서 목소리를 키워 우리나라 몫을 더 챙겨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송광섭 기자 / 송민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