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글자크기 설정

기사 상세

IT·과학

6G 상용화 2년 앞당겨 '美中 통신전쟁' 넘는다

나현준 기자

입력 : 
2023-02-20 17:48:42

글자크기 설정

美, LA올림픽때 상용화 전망
中 주도하는 5G 탈출 노림수
韓도 조기상용화로 선점노려
◆ 신성장 4.0 전략 ◆
정부가 6세대(6G) 이동통신 상용화 시점을 애초 목표에서 2년 앞당겨 2028년으로 제시한 배경에는 미·중 간 통신 경쟁이 자리하고 있다. 미국은 2028년 7월 열리는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에 맞춰 자국에서 6G를 상용화해 차세대 통신 시장을 주도한다는 계획을 이미 밝혔다. 이에 우리 정부도 관련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기로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발표된 'K네트워크 2030' 전략은 현재 3조원 규모에 불과한 국내 네트워크 장비산업을 차세대 통신 시장(소프트웨어 기반 6G 시장)으로 재편해 세계 통신장비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겠다는 내용이다. 6G는 5G에 비해 속도와 데이터 전송 용량을 10배 더 끌어올린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이다. 5G 커버리지 범위가 지상 320m에 불과한데 6G는 1㎞까지 가능하다. 향후 도입될 도심항공교통(UAM)을 운영하는 데도 필수 기술로 꼽힌다. 정부는 6G 차세대 기술 확보를 위해 8167억원(2021~2028년)을 투자할 계획이다. 미국(30조원), 유럽연합(2조4659억원)보다는 투입 예산이 적지만 일본(6537억원), 중국(5807억원)보다는 많다.

정부가 6G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미국이 6G 우위를 가져가기 위해 상용화를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5G 때까지는 화웨이 등 중국 통신장비 업체의 영향력이 강했다. 미국은 화웨이의 해킹 의혹을 제기하며 제재에 나섰고, 하드웨어 장비 업체의 영향력을 낮추기 위해 소프트웨어 중심 6G 통신 시장을 만들 예정이다. 이를 '오픈 랜(Open RAN)'이라고 한다. 어느 회사 제품을 사용하든 서로 호환이 가능한 체계를 말한다.

이렇게 되면 통신장비 제조사는 힘이 떨어지고 인공지능(AI) 반도체를 통한 저전력 기술, 클라우드 가상화 기술 등 소프트웨어 기술이 중요해진다. 소프트웨어에 강점이 있는 미국이 적극적으로 오픈 랜 기반 6G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이유다.

이 밖에 정부는 차세대 슈퍼컴퓨터로 꼽히는 양자컴퓨터를 올해 안에 시연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올해는 2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시연하지만 이를 고도화해 2027년까지 500큐비트 이상 양자컴퓨터 구축에 도전한다. 또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구축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나현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