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글자크기 설정

기사 상세

기업

"MRO정책 제각각…시설·장비 제대로 활용 못해"

문광민 기자

입력 : 
2022-09-06 17:53:59
수정 : 
2022-09-06 19:20:31

글자크기 설정

안영수 한국항공전략연구원장

내수 기반 키워야 경쟁력 제고
◆ 급성장하는 항공 MRO (下) ◆

사진설명
"국내 항공 MRO 산업을 육성해 수출 산업화하기 위해선 민·군 역량을 하나로 모아야 하죠. 군이 항공기 정비와 정비창 운영을 민간에 위탁한다면 민간업체는 탄탄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안영수 항공전략연구원장은 "항공 MRO 분야는 민·군 간 시설·장비·인력·기술의 공용성이 높지만, 정책 분산으로 인해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연구원의 방위사업 통계 조사에 따르면 군수 MRO 예산은 인건비와 시설유지비를 제외하고도 현재 약 3조원 규모로, 전체 전력 운영비의 10%가량을 차지한다. 항공무기체계 고도화에 따라 군수 MRO 예산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안 원장은 군이 항공 정비 물량을 자체 소화하는 대신 민간업체에 내놓는다면 국내 MRO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민항기 MRO 수요는 항공운송시장 상황에 따라 온도 차가 나타나지만, 군수 물량은 일정한 수요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안 원장은 "한국은 자본력과 기술력을 갖추고 있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인건비가 높아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한 게 사실"이라며 "군의 MRO 인프라스트럭처를 잘 활용한다면 불리한 여건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지금은 민·군이 따로 움직여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항공 MRO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민·군이 협력한다면 국내 업체가 해외 군수 MRO 시장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안 원장은 "현재 군 내부에서 자체 정비하고 있는 항공무기체계 MRO 물량을 위탁한다면 민간기업이 각종 무기체계 정비 기술을 습득하고, 유사한 무기체계를 운용하는 국가에 MRO 서비스를 수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안 원장은 군이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는 점을 최대 난관으로 꼽았다. 군은 2006년부터 국방개혁의 핵심 과제로 민간 자원 활용을 통한 국방 경영 효율화를 추진한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답보 상태다. 정비창 민영화가 일례다.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된 '국방개혁 2.0'에서 민간 위탁과 정비창 민영화 계획은 제외되고, 부족한 정비 병력을 군무원으로 보충하기로 해 민간 자원 활용 계획은 오히려 퇴보했다. 안 원장은 "군의 항공 정비 물량 아웃소싱은 안보적·산업적 차원에서 모두 이득이 된다"고 강조했다.

[문광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