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글자크기 설정

기사 상세

경제

급한 대출 갚고 카드로 버텼다 … 가계빚 1870조 사상 최대

류영욱 기자

임영신 기자

입력 : 
2022-11-22 17:39:54
수정 : 
2022-11-22 19:14:07

글자크기 설정

가계대출은 소폭 줄었지만
고금리에 석달새 3천억 감소
부동산 불황에 주택거래 부진
주담대 증가폭 6조원대로 뚝
카드 합친 가계빚은 쑥
2.5조 늘며 역대급 증가율
거리두기 해제·소비증가 영향
고신용대출도 금리 8% 눈앞
이자폭탄에 가계부실 우려
◆ 가계빚 눈덩이 ◆
가계부채 뇌관

사진설명
가계빚이 사상 최대치인 1870조원으로 불어나며 금리 인상과 경기 부진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한국 경제에 뇌관이 되고 있다. 폭증하던 가계부채는 올해 들어 금리 인상으로 증가폭이 줄어들고 있지만 부동산시장 침체에도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여전하고 카드빚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치솟는 대출 금리에 눈덩이 가계빚이 '부실폭탄'이 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3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70조6000억원을 기록해 2003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3년 2분기 이후 38분기 연속 증가세다. 가계신용은 은행·보험사·대부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을 뜻하는 판매신용을 포함한 포괄적인 부채를 뜻한다.

가계신용 증가세는 둔화됐다. 3분기 말 가계신용은 전 분기보다 2조2000억원 늘었는데, 전년도 분기별 17조4000억~43조9000억원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로 따지면 3분기는 1.4%를 기록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저조했다. 가계대출이 1756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3000억원 줄었고, 신용대출·마이너스통장 등 기타대출 역시 금리 상승에 네 분기 연속 감소했다. 박창현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올해 들어 가계신용 증가율이 한 자릿수이고 증가세도 둔해져 가계신용 상황이 대체로 안정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낙관하기엔 이르다. 박 팀장은 향후 전망에 대해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일부 풀리고 은행이 대출 태도를 완화하는 등 가계신용 증가 요인이 있는 반면 금리 상승세가 지속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주요 규제가 유지되는 점은 제약 요인"이라고 말했다.

사진설명
특히 가계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은 여전히 증가세다. 3분기 주택담보대출은 1007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6조5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2007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계속 증가해왔다. 올해도 증가폭이 다소 완화됐을 뿐 부채가 쌓여가고 있다는 뜻이다. 개별 주택담보대출은 줄어드는 추세지만 금리 인상기에도 집단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이 늘어난 탓이다. 집단대출은 재건축·신규 분양 아파트 입주자 중 일정 요건을 충족한 이들에게 개별 신용심사 없이 대출해주는 상품으로, 대출 문턱이 개별 대출보다 낮다.

무엇보다 카드대금인 판매신용이 급증하며 가계빚을 불렸다. 3분기 판매신용 규모는 113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조5000억원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13.2%를 기록해 역대 최대치였다. 지난 4월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 전면 해제로 민간소비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가계빚은 경제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함께 커지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금리 인상 시기에도 증가세가 여전하면 가계부채 부도 혹은 연쇄 부도를 촉발해 경제 전반으로 위험이 전이될 수 있다.

최근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이 같은 우려는 커지고 있다. 이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기준)는 연 5.3~7.17%로 집계됐다. 지난 6월만 해도 4% 안팎이었는데 불과 6개월 만에 최고금리가 7%를 넘어선 것이다. 연말엔 8%에 근접할 가능성도 높다. 신용대출 금리(금융채 6개월 기준)도 연 6.23~7.48%로 의사·변호사 등 고신용자도 매년 6%대 이자를 내야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대출 금리 급등세는 한은이 급격하게 금리를 인상한 영향이 크다. 미국의 긴축 속도에 맞춰 한은이 사상 처음으로 두 번의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은 7월 이후 가계대출 금리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기준금리가 0.75%포인트 올랐는데, 같은 기간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0.92%포인트 뛰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과거엔 기준금리 인상이 대출 금리로 전이되는 비중이 대략 절반 정도였는데 요즘엔 기준금리 상승분이 대출 금리에 고스란히 선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소득 증가율이 늘어나는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17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3분기 가구당 실질소득은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하면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소득 흐름보다 큰 가계부채 증가로 현금 상환 능력이 떨어지면 경제 전반의 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며 "금리 인상기에는 DSR 규제 완화 등 부채 증가폭을 키우는 정책을 지양하면서 정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영욱 기자 / 임영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