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서울 마트서 필수식료품 똑같이 사봤더니
'국민과자'만 한국이 저렴
달걀·빵·우유 모두 美가 싸
美 대형세일 영향도 있지만
먹거리 물가 상승률 3.3%
韓은 6.7% 달해 가계 '흔들'
한국 1인당 소득 美의 절반
체감 물가 뉴욕의 3배인 셈
'국민과자'만 한국이 저렴
달걀·빵·우유 모두 美가 싸
美 대형세일 영향도 있지만
먹거리 물가 상승률 3.3%
韓은 6.7% 달해 가계 '흔들'
한국 1인당 소득 美의 절반
체감 물가 뉴욕의 3배인 셈
한국은 필수 식료품 가격 하단이 이미 높은 편인데, 최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마저 3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하면서 양국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격차는 더 벌어질 전망이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할인마트인 월마트 뉴욕 A지점. 평일 오전임에도 곳곳에 물건을 사려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특히 '이전 가격 복귀(Rollback·롤백)' 간판이 있는 곳은 여지없이 붐볐다.
롤백이란 월마트가 추수감사절 연휴 등 매출 대목을 맞이해 벌이는 특별 가격할인 행사다. 통상 3개월 정도 지속되기 때문에 연말까지 할인가격이 이어질 전망이다.
할인율이 큰 제품은 주로 먹거리들이었다. 양파 6개들이 한 망이 일주일 전 4.44달러(약 5758원)에서 2.18달러(약 2827원), 러셋 감자는 2.3㎏당 5.27달러(약 6835원)에서 2.83달러(약 3670원)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월마트에서 만난 주부 엘리자베스 브라운 씨(42)는 "그동안 물가가 너무 올라서 뭘 사는 게 두려웠는데, 먹거리도 바닥나고 세일도 많이 한다고 해서 할인상품 위주로 사려고 나왔다"고 말했다.
매를 기반으로 가격할인 행사를 개시했다"면서 "행사가 끝날 때까지 고객들이 밀려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월마트가 통 큰 할인에 나선 것은 소비자들이 가격에 매우 민감해졌기 때문이다.
월마트는 지난주에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고객들이 할인 행사 없이는 지갑을 잘 열지 않고 있다. 몇 달 후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이 올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이번 할인은 4분기 실적 둔화를 막아보려는 필사적인 안간힘인 셈이다.
서울 소비자들도 가처분소득이 줄어들기는 마찬가지인데, 실제 먹거리나 생활필수품 절대가격과 체감물가 모두 뉴욕보다 더 비쌌다. 매일경제가 서울 이마트와 뉴욕 월마트를 찾아 10대 장바구니 품목을 비교한 결과 한국이 뉴욕보다 평균 1.5배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탁에 자주 오르는 달걀, 식빵, 닭고기, 우유 등은 모두 서울 가격이 뉴욕보다 1.5~2배 비쌌다. 가장 가격 차이가 많이 난 것은 사과였다. 서울에서 사과는 개당 1983원으로 뉴욕(791원)보다 2.5배나 비쌌는데, 이는 올해 국내 사과농가가 냉해로 수확량이 급감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10대 물품 중 월마트에서는 양파·사과·과자·콜라가, 이마트에서는 양파·사과·소고기·우유가 할인 중이었다.
19일 이마트에서 만난 40대 주부 신 모씨는 "역대급 세일 소식에 행사 상품 위주로 이것저것 담았는데 20만원이 넘게 나와서 깜짝 놀랐다"면서 "물가가 비싸다는 영국에서 온 친구도 프랜차이즈 제과점에서 빵 몇 개만 담으면 3만원이 넘는다며 혀를 내두른다. 서울 체감물가가 훨씬 비싸다고 한다"고 말했다.
한국 장바구니 물가가 더 비싼 것은 미국에서는 전반적으로 먹거리 물가가 안정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구성하는 품목 중 식품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미국(3.3%)이 한국(6.7%)의 절반 수준이었다.
미국은 지난해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식품 가격 상승률이 11%(전년 대비)를 기록하면서 1980년대 이후 가장 큰 연간 식품 가격 상승을 겪었다.
하지만 식품 공급망 문제를 해소하고 특정 품목의 해외 공급을 늘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식품 가격을 안정시켰다. 필수 식료품 가격 상승은 식비가 소득에서 평균 30% 이상을 차지하는 저소득 가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 바이든 미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선 바 있다.
마크 잔디 무디스 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14일 식품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10월 CPI를 보면 미국 식료품 가격은 전월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팬데믹 영향이 한창이던 2022년 8월 최고치(13%)에 비하면 크게 안정됐다"고 밝혔다.
특히 필수 식료품인 먹거리 물가가 비싼 것은 도시 경쟁력을 갉아먹는 요소가 된다. 거주자들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이민자들이 정착하기에도 녹록지 않은 장애물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부가 추진 중인 외국인 가사관리사가 들어온다고 해도 최저임금 수준인 200만원으로 생활하기에는 현재 서울 물가 수준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뉴욕 윤원섭 특파원 / 서울 박홍주 기자]